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

로딩중입니다.

한국동서발전(주) 카카오톡 챗봇 안내 서비스입니다.

해당 챗봇 서비스로 이동하시겠습니까?

아니오

회사소개

신재생에너지사업

신재생에너지 추진전략

신재생에너지 추진전략

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할 핵심사업으로 신재생에너지원 중점개발
  • 최적의 신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 구성, 에너지 자원의 다양화

  • 사업추진의 경제성, 용이성, 규모의 적정성 등을 감안한 선택과 집중

  • 융복합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부합하는 고효율 신재생에너지 기술경쟁력 확보 및 보급

  • 발전소 인근 지역 갈등 해소를 위한 다양한 신비즈니스 모델 개발

  • 신재생에너지 현재 (2020년 전망)태양광(417.2),육상풍력(188.8),해상풍력(42),연료전지(149.2),해양에너지(8.2),바이오메스(268.9),IGCC

    현재 (2021년 실적)

  • 신재생에너지 도약단계 (2025년)태양광(1,315.6),육상풍력(823.2),해상풍력(1293.0),연료전지(522.3),해양에너지(24.2),바이오메스(258.9),IGCC

    도약단계 (2025년)

  • 신재생에너지 성숙단계 (2030년)태양광(1,890.6),육상풍력(1,600.2),해상풍력(2,080.0),연료전지(1,115.3),해양에너지(268.9),바이오메스(438.2),IGCC

    성숙단계 (2030년)

태양광

육상풍력

해상풍력

연료전지

해양에너지

바이오메스

IGCC

기준 : 2015년 한국동서발전 신재생에너지 Master Plan(외부구매 포함)

2030 미래 에너지산업 선도기업

한국동서발전은 기후변화협약 시행 등 전력산업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자 신재생에너지 국내시장의 활성화 및 산업기반 확충에 기여하고 있으며, 에너지 공기업이자 RPS 공급의무자로서 소임을 다하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. 또한 2030년까지의 마스터플랜 수립을 통해 약 5,000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원을 확보하여 신재생에너지 미래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미래 에너지산업의 선도 기업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.

RPS 주요내용

RPS(Renewable Portfolio Standard :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)란?

에너지를 공급하는 사업자의 총 공급량 중 일정비율을 신·재생에너지로 의무화하는 제도

RPS 도입 시 공급의무자 범위

설비규모 500MW 이상의 발전사업자

의무비율

2012년~2024년 간 공급의무자의 총 발전전력량의 2~10%로 점진적 증가

연도별 의무공급량의 비율 (신재생에너지법 시행령 기준)

연도별 의무공급량의 비율 확인(연도, 의무비율)
연도 '15년 '16년 '17년 '18년 '19년 '20년 '21년 '22년 '23년 '24년 '25년
의무비율(%) 3.0 3.5 4.0 5.0 6.0 7.0 9.0 12.5 13.0 13.5 14.0

담당자 및 홈페이지 만족도조사

담당부서
신재생총괄부
전화번호
070-5000-1794

홈페이지 만족도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십시요.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.

등록하기 의견등록